발가락 사이 갈라짐, 갈아내면 더 악화 됩니다.
본문 바로가기
기타 지식

발가락 사이 갈라짐, 갈아내면 더 악화 됩니다.

by 부동산을공부하자 2022. 6. 16.

발가락 사이 갈라짐에 대해 한 번 얘기해 보겠습니다. 우리의 발 뒤꿈치나 발가락 사이에는 피지샘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각질이 쌓이기 쉽습니다. 더군다나 곰팡이균과 같은 무좀이

있다면 피부가 벗겨지고 벗겨지면서 각질 층이 두터워지는 것을 반복, 굳은 살이나 피부염이 생기기 쉬운데요. 이렇게 굳은 살이나 피부염이 생기면 발가락 사이가 갈라지기도 쉽습니다. 그래서 오늘, 발가락 사이 갈라짐에 대해 정확한 솔루션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각질 물리적으로 제거?
2. 붙이는 패드로 제거?
3. 무좀 치료가 먼저
4. 발가락 사이 관리 방법

 

발가락 사이 갈라짐
발가락 사이 갈라짐

▼ 관련 포스팅 ▼

 

발바닥 굳은살 위치에 따른 내 몸 이상 증상 정리

발 무좀 치료 이거 하나면 병원 안 가도 됩니다.

손가락 껍질 벗겨짐 이것 때문에 벗겨지는 거 모르셨죠?

 

각질 물리적으로 제거?

발가락 사이에 각질이 많으면 갈라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 각질을 물리적으로 긁어서 제거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발가락 사이 각질 층을 물로 불려서 칼로 갈아내거나 혹은 깎아내게 되면 피부에 과한 자극을 주고 피부 층을 벗겨내기 때문에 피부가

각질 층을 보호하기 위해 다음번엔 더 두껍게 형성되기에 오히려 저 심한 발가락 사이 갈라짐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물리적인 제거 방법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붙이는 패드로 제거

요즘 발 뒤꿈치나 발가락에 양말처럼 신는 패드를 판매하기도 하는데요. 이 방법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이러한 패드 종류는

각질을 화학적 성분을 통해 각질을 제거하게 되며, 이러한 방법은 각질을 죽은 각질 층이 아닌 살아있는 각질 층 마저 과도하게 벗겨내기 때문에

피부가 다시 재생할 때 재생 주기를 발해하고 피부염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니 강력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무좀 치료가 먼저

발가락 사이 갈라짐이 무좀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라면 당연히 무좀을 먼저 치료하셔야 됩니다. 무좀을 먼저 치료해야 각질이 덜 생기게 되고 각질이 두껍게 자리잡지 않으면

갈라지는 현상도 줄어들기 때문이죠. 곰팡이균과 같은 무좀 균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절대로 치료되지 않으면 100% 치료되는 균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피부과에 들리셔서 무좀 치료를 먼저 받는 게 중요하고 무좀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바르는 연고가 윤활 성분이 있어서

발가락 사이 갈라진 곳에 발라 주면 각질이 말랑말랑해지기 때문에 갈라진 사이로 통증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발가락 사이 관리 방법

발가락 사이나 발 뒤꿈치나 관리 방법은 비슷합니다. 무좀을 치료했고, 각질 층이 남아있다면 각질 연화제를 통해 각질을 연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게 중요합니다.

각질 연화제 연고를 발라주면 각질이 연하고 부드럽게 변하기 때문에 그냥 걸어만 다녀도 쓸리면서 각질이 벗겨지게 됩니다. 일반적인 물리적 제거 방법보다는 살아있는 세포가 덜 벗겨지기에 훨씬 부작용이 덜 합니다.

발 각질 연화제 연고 사용 이후에는 피부를 보호해 주기 위해 풋 크림이나 바디로션을 발라 보습을 해주는 것도 중요하고, 가장 중요한 건

샤워를 한 이후 거나 발이 젖었으면 말려주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사실 발을 꼼꼼히 말리는 것만 해주더라도 무좀은 80% 이상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늘 이렇게 발가락 사이 갈라짐, 발 뒤꿈치 각질 제거, 발가락 사이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팅

 

▼ 발 무좀 치료 이거 하나면 병원 안 가도 됩니다.

 

발무좀 치료 이거 하나면 병원 안가도 됩니다.

발무좀은 피부사상균의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병중 하나인데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감염되어 걸릴 수 있는 질병 중 하나라서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두 피곤하게 만드는 질병입니다. 그리고

dhhdc1.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