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곳니 갈기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송곳니는 치아 중에서 가장 길고 뾰족한 형태로 나 있는 치아입니다.
짐승의 경우에는 사냥을 위해 송곳니가 길고 뾰족하게 나 있다고 하지만 사람의 경우 사냥할 일이 없기 굳이 송곳니가 뾰족해야 될 이유가 없는데요.
그래서 이런 송곳니를 미관상 보기 좋기 위해 갈아 버리는 시술을 요즘 많이 합니다. 이 송곳니 갈기 시술과 관련된 정보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송곳니 왜 갈아야 될까?
2. 송곳니 갈기 부작용 있을까?
3. 송곳니 갈기 가격은 얼마일까?
4. 송곳니 갈기 후기
성인교정 효과 볼 수 있을까?
송곳니 왜 갈아야 될까?
송곳니를 가는 이유는 뭘까요?
첫 번째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습니다. 간혹 송곳니가 정말 날카롭게 나는 분들이 있는데 이런 분들은 활짝 웃을 때 날카로운 송곳니에 시선이 가면서 드라큘라 같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이갈이를 하는 분들은 송곳니가 날카로울 때 이를 갈다가 다른 치아나 송곳니가 쩌적 하고 갈라지거나 깨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미리 갈아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송곳니가 너무 뾰족해서 혀나 입술을 자주 다치는 분들도 의료 목적으로 송곳니를 가는 분들도 있습니다.
위 케이스 중 사실 미관상, 관상을 보기에 송곳니가 너무 뾰족하게 두드러지면 보기 좋지 않아서 가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송곳니 갈기 부작용 있을까?
송곳니를 갈면 부작용이 있을까요?
모든 의료 시술에는 100%라는 게 없습니다. 일부 부작용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송곳니를 다듬는다는 건 결국 치아의 법랑질을 어느 정도 깎아내기 때문에 세월이 흘러가면 깨지거나 금이 가는 치아 손상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또 너무 많이 갈게 되면
법랑질이 너무 많이 깎여서 상아질이 노출되어 이가 시리는 증상도 생길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이 다듬거나 갈지 않으면 시리거나 치아에 금이 가는 등의 증상은 생기지 않습니다.
무삭제 라미네이트 가격 장단점 수명 치료 후기
무삭제 라미네이트 가격과 장점 및 단점, 수명, 치료 후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라미네이트는 단기간에 미용 목적으로 치아를 삭제하여 레진을 붙이는 시술을 말합니다. 치아 일부를 삭제하
dhhdc1.tistory.com
송곳니 갈기 가격은 얼마일까?
송곳니 갈기 가격은 어느 정도일까요?
보통 송곳니 갈기, 다듬기를 할 때 비용은 1 ~ 2만 원 받거나 다른 치료를 목적으로 방문 했다가 조금만 갈아 달라고 해서 갈면 무료로 다듬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치과에서 교정을 하고 있다면 조금만 다듬어 달라고 하면 무료로 다듬어 주고 스케일링을 받다가 조금만 다듬어 달라고 하면 위생사 분이 조금만 다듬어 주기도 합니다.
송곳니 갈기를 목적으로 방문을 한다면 만 원 안쪽으로 받을 수 있고 비싸 봐야 2만 원 정도 비용을 생각하면 됩니다.
송곳니 갈기 후기
저는 교정 중에 송곳니를 갈았습니다.
송곳니가 유난히 뾰족하게 자라서 웃을 때 드라큘라 같은 느낌도 주었으나 크게 개의치 않고 살았습니다.
그러나 교정을 할 때 긴 송곳니가 아래 치아에 붙은 브라켓을 간섭하는 일이 잦아져서 의사 선생님이 법랑질 위에 부분만 조금 다듬자고 해서 송곳니를 갈았고
확실히 송곳니가 옆의 치아와 나란히 비슷하게 다듬어지니 보여지는 인상이 날카로운 인상에서 부드럽게 바뀐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팅
돌출 입 라미네이트 vs 교정 치료기간, 가격 비교
돌출 입 라미네이트와 교정, 두 치료 방법을 간단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돌출 입은 앞니 2개 ~ 4개가 앞으로 튀어나와 입이 돌출되어 보이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런 돌출 입은 미관상 보기
dhhdc1.tistory.com
'기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교정 광대 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을까? 후기 (0) | 2025.01.14 |
---|---|
교정 땅콩형 볼 패임 생기는 이유 예방하는 방법 (0) | 2025.01.12 |
교정 합죽이 안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1.08 |
교정 바이트블럭 하는 이유 얼굴 길어지는 이유 후기 (0) | 2025.01.06 |
비발치 뻗침 얼굴 길어짐 부작용 총정리 (0) | 2025.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