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철식 유지장치 세척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가철식 유지장치는 교정 이후에 치열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게 꼈다 뺐다 하는 유지장치입니다.
평상시에는 고정식 유지장치로 고정을 하고 있고 일과를 마치고 집에 와서 쉴 때는 가철식 유지장치를 착용해서 추가적으로 치아를 고정하게 되는데요.
이런 가철식 유지장치도 세척을 해야 하는지? 치석이 끼면 어떻게 제거 하는지? 관련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비발치로 교정하면 무조건 앞니가 뻗칠까?
목차
1. 가철식 유지장치 기간 얼마동안 해야될까?
2. 가철식 유지장치 세척 해야 될까?
3. 가철식 유지장치 치석 제거 어떻게 할까?
4. 가철식 유지장치 안맞으면 어떻게 할까?
가철식 유지장치 기간 얼마동안 해야될까?
교정이 끝나도 유지장치를 제때 해주지 않으면 치아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이 있기 때문에 금방 치열이 뒤틀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정식이나 가철식 유지장치로 교정을 해놓은 그대로 유지하기 위에 유지장치를 착용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가철식 유지장치는 교정이 끝나고 얼마동안 해야 될까요?
보통 교정이 끝나고 1년 ~ 2년 사이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 가려는 힘이 가장 강하기에 못 해도 2년 정도는 꼭 해주셔야 됩니다.
또한 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 그러니까 잇몸에 있는 상치조탄력섬유가 교정 전의 상태로 붙잡고 있어서 상치조탄력섬유가 그나마 힘이 덜 받을 시기
대략 5년 정도는 착용해 줘야 상치조탄력섬유의 힘이 느슨해지면서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물론 나이가 들수록 중력에 의해 치아가 앞으로 쏠리는 증상이 생기기 때문에 상치조탄력섬유의 힘과는 별개로 나이가 들면 치아가 앞으로 쏠려서 치열이 바뀔 수 있습니다.
가철식 유지장치 세척 해야 될까?
가철식 유지장치는 세척을 해야 될까요? 당연히 세척을 해야 됩니다.
구강에 착용하고 있다가 뺀 가철식 유지장치는 우리의 침과 각종 세균, 보관하는 도중에 붙는 먼지, 그리고 치석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꽤나 더럽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철식 유지장치도 세척을 해줘야 하며 세척할 때 치약이나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용 세척제나 중성 세제, 그냥 미온수에 칫솔로만 살살 닦아 주는 방법으로 세척하면 됩니다.
일반 세제나 치약을 사용하면 가철식 유지장치가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변형 문제로 인해 치약이나 일반 세제 없이 칫솔로만 세척을 해야 합니다.
치아교정 팔자주름 무조건 생길까?
치아교정 팔자주름 무조건 생기는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치아교정을 하면 외모적인 부분에서 굉장히 변화가 많아 집니다. 치열은 물론이고 많이 바뀌는 분들은 턱관절까지 미세하게 변하
dhhdc1.tistory.com
가철식 유지장치 치석 제거 어떻게 할까?
가철식 유지장치를 오래 사용하면 아무래도 우리의 구강 처럼 치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얗게 붙은 치석은 칫솔로 세척을 해도 생각보다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렇게 가철식 유지장치에 치석이 붙으면 치과 정기검진을 갈 때 유지장치의 치석도 제거해 달라고 부탁하는 방법도 있고
틀니 세척제나 리스테린 같은 곳에 담궜다가 곧 바로 꺼내서 칫솔로 닦아 내면 치석이 쉽게 제거가 됩니다.
치석을 제거 한다고 일반 세제나 치약을 사용해서 칫솔질을 하면 장치가 마모되기 때문에 절대로 안 됩니다.
또한 치석과 미온수를 1 : 1 비율로 섞어 15분 정도 담궜다가 살살 칫솔질 해도 괜찮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뜨거운 물로 하면 또 플라스틱 변형이 생길 수 있으니 미온수로 해야 됩니다.
식초로 하면 냄새가 좀 나기 때문에 세척 후에는 다시 깨끗한 물로 세척해줘야 됩니다.
가철식 유지장치 안맞으면 어떻게 할까?
가철식 유지장치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소독을 한다고 뜨거운 물에 삶거나 하게 되면 플라스틱 변형으로 인해 내 치열과 안맞게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장기간 가철식 유지장치를 착용하지 않았다가 오랜만에 착용하게 되어도 치열이 미세하게 변하면서 기존의 가철식 유지장치가 맞지 않게 될 수 있는데요.
이렇게 가철식 유지장치가 맞지 않게 되면 유지장치로써의 역할을 전혀 못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치과에 내원하여 가철식 유지장치 조정을 받아야 됩니다.
만약 가철식 유지장치가 빡빡한 정도로 들어 간다면 살짝 틀어진 것이고 아예 안 들어갈 정도면 많이 틀어진 거라 조정을 받아야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팅
교정 합죽이 안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교정 합죽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합죽이는 윗 입술이 얇아지면서 꼭 나이가 든 노인 분들이 치아가 다 빠져서 입이 안으로 말려 들어간 상태를 합죽이라고 부릅니다.교정을 하면 낮은 확률
dhhdc1.tistory.com
'기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리 통증 두피 누르면 콕콕 찌르는 증상 뭘까? (0) | 2025.01.22 |
---|---|
앞니 틀어짐 비뚤어짐 들어감 문제 왜그런 걸까? (0) | 2025.01.20 |
교정 유지장치 떨어짐 재부착 비용 일주일 넘어도 될까? (0) | 2025.01.16 |
치아교정 광대 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을까? 후기 (0) | 2025.01.14 |
교정 땅콩형 볼 패임 생기는 이유 예방하는 방법 (0) | 2025.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