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자녀증여시 증여세는 얼마나 나올까요? 자녀들에게 조금이라도 일찍 증여해줘서 자녀의 인생을 편하게 만들어주고 싶은 그 마음 압니다.
근데 증여세가 많이 나올까봐 망설여지시죠? 제가 그 궁금증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성인자녀증여 시 증여세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우선 증여세 계산구조를 알고 가셔야 합니다. 증여세 계산구조는 증여재산가액(증여한 부동산 가격) - 증여세 면제한도(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규정되어있는 공제액) = 증여세 과세표준
증여세 과세표준 X 증여세율(10% ~ 50%) = 증여세액
증여세액 - 자진신고공제 3% = 납부할 증여세액
이런식으로 증여세를 계산하게 됩니다. 양도세나 종부세에 비하면 발로도 계산할 수 있을 정도로 계산방법이 간단한게 증여세 입니다.
단, 여기서 하나 걸리는게 있죠? 바로 증여세 면제한도입니다. 이 증여세 면제한도를 얼마나 공제해야 되는지? 를 모르면 증여세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위의 증여세 면제한도 종류는 한 5가지 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인자녀증여 시 증여세 계산방법이니 성인자녀에 적용되는 증여세 면제한도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제 블로그에 다른 증여세 면제한도들과 증여와 관련된 정보들이 많으니 궁금하신것에 대한 부분을 검색하셔서 정보들을 습득해 가시구요.
성인자녀에 적용되는 증여세 면제한도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성인자녀는 직계비속이죠? 직계비속은 증여면제한도가 5,000만 원이 적용됩니다.
이제 끝났습니다. 증여세만 계산하면 됩니다. 제가 사례를 들어 성인자녀증여 시 증여세는 얼마나 부과되는지? 계산해보고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예를 들어 5억 아파트를 성인자녀 중 딸에게 증여해보겠습니다. 5억 (증여재산가액) - 5,000만 (성인자녀 증여면제한도) =
4억 5,000만 원 (증여세 과세표준) X 20% (증여세율) =
9,000만 원 (증여세) - 누진공제 1,000만 = 8,000만
8,000만 - 자진신고공제 3% = 7,760만 원 (납부 증여세)
5억 아파트를 성인자녀에게 증여시 7,760만 원이라는 증여세를 계산할 수 있게 됩니다. 어떤가요? 매우 쉽죠? 진짜 마지막으로 혹시 계산에 필요할 수 있으니 증여세율을 알려드리면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과세표준 1억 이하, 세율 10%
과세표준 1억 ~ 5억 이하, 세율 20%
누진공제 1,000만
과세표준 5억 ~ 10억 이하, 세율 30%
누진공제 6,000만
과세표준 10억 ~ 30억 이하, 세율 40%
누진공제 1억 6,000만
과세표준 30억 초과, 세율 50%
누진공제 4억 6,000만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 증여 취득세 계산방법 (0) | 2020.11.08 |
---|---|
지역 의료보험 피부양자 요건 (0) | 2020.11.08 |
부동산 취등록세율 총 정리 (0) | 2020.11.06 |
증여세 카드납부 결제방법 (0) | 2020.11.06 |
분양권 부담부증여 관련 내용정리 (0) | 2020.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