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카드납부 결제방법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증여세 카드납부 결제방법

by 부동산을공부하자 2020. 11. 6.
728x170

증여세는 국세로써 증여받게되면 대부분은 꽤나 많은 금액의 증여세를 부담해야 합니다. 보통은 몇 천만원에서 몇 억 까지 증여세를 납부해야하는 경우가 생기죠.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 만약에 현금이 없을 경우 카드납부로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는지? 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그래서 오늘은 증여세 카드납부 결제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지방세는 카드납부가 됩니다. 지방세징수법에 카드납부가 된다고 규정되어있죠. 근데 증여세는 국세입니다. 과연 국세도 카드납부가 될까요? 또한 할부도 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됩니다. 국세인 증여세도 카드납부도 되고 할부로 납부해도 됩니다. 일시적으로 몇 천만원에서 몇 억까지 부담해야되는 증여세 이기에 현금이 부족할 수 있는 경우가 생겨서 증여세도 카드납부할 수 있게 국세청에서 만들어 놨습니다.


그럼 어떻게 증여세를 카드납부로 납부할까요? 사실 이 부분은 세무서에서 증여세 신고를 하시는분들은 카드납부가 되는지 잘 모르실겁니다. 홈택스로 자진신고해서 증여세를 납부하시는 분들은 증여세 카드납부가 되는지? 안되는지? 궁금해 할 이유가 없죠.



왜냐하면 이렇게 증여세를 신고한 뒤 결제수단에 카드납부가 된다고 나와있거든요. 물론 할부도 됩니다. 그리고 증여세를 카드납부로 납부할 경우에는 카드수수료가 0.5% ~ 1% 가까이 카드사 마다 부과되는데


사실 수수료는 아까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카드사 마다 결제대금에 따른 혜택이 다른데 증여세는 보통 몇 천만원 부터 시작하잖아요?




그럼 몇 천만원 짜리에 대한 혜택이 좋은 카드로 할부납부하면 마일리지라던가 이런저런 혜택들을 받을 수 있게 되는거죠. 뭐 카드사 마다의 혜택은 제가 알려드리기 뭐하니까 찾아보시구요.


아무튼 이제는 증여세 카드납부 신고절차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국세를 관장하는 홈택스로 접속해주세요.




홈택스 가장 위의 상단메뉴에서 세금납부 -> 국세납부 -> 자진납부 순서대로 들어가주신 뒤 증여세 자진신고를 하면 위에 올려둔 사진처럼 증여세 카드납부 결제탭이 나옵니다. 


결제탭에서 본인이 원하는 카드사를 선택하여 카드로 결제하면 되는것이죠. 카드결제탭 옆에 카드사별 이벤트가 있는데 한 번쯤 읽어보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증여세가 1~2만 원 하는게 아니라서 고액대금 혜택이 넘사벽이거든요. 아까운 세금 내는 만큼 혜택을 야무지게 챙겨둬야 합니다. 참고하시구요.


아무튼 오늘 증여세 카드납부가 되는지와 결제방법, 신고절차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증여세와 관련된 포스팅들을 많이 올려두었으니 증여관련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찾아가셨으면 좋겠네요.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