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주차 신고 포상금 관련 내용과 불법주차 신고 앱 사용법, 신고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운전을 하다 보면 불법주차로 인해 교통이 정체되고 막히는 현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불법주차 차량들은 응당 신고를 해서 상품권(과태료)을 날려줘야 기분이 풀리는데요. 그래서 오늘 제가 불법주차 신고 앱을 이용한 신고 방법과 신고 시 포상금은 얼마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불법주차 신고 대상
2. 불법주차 신고앱 설치하기
3. 불법주차 신고 방법
4. 불법주차 신고 시 포상금

▼ 함께 보면 좋은 교통 관련 포스팅 ▼
불법주차 신고 대상
불법주차는 그 신고기준이 있기 때문에 내가 마음에 안 드는 위치에 주차를 했다고 해서 모두 불법주차 신고 대상이 되는 건 아닙니다. 아래에 불법주차 신고 대상, 신고 기준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어린이 보호구역
- 신고 가능 시간 : 08 : 00 ~ 20 : 00 (공휴일 제외)
- 초등학교나 특수학교 정문 앞 도로에 주차된 차량
- 4대 불법 주정차
- 신고 가능 시간 : 24시간
- 소화전 근처
- 주정차가 금지된 소방시설 주변 5미터 이내 주차된 차량
- 교차로 모퉁이
- 주정차가 금지된 표시(황색 실선, 황색 점선)가 있는 교차로의 가장자리나 도로 모퉁이로부터 5미터 이내 주차된 차량
- 횡단보도
- 횡단보도 정지선부터 횡단보도가 끝나는 면적 이내 정차된 차량
- 버스 정류소
- 정류소 표지판 기준 10미터 이내 정차된 차량
- 소화전 근처
- 기타 불법 주정차
- 신고 가능 시간 : 평일 07 : 00 ~ 22 : 00, 주말 및 공휴일 09 : 30 ~ 17 : 30, 예외 시간 11 : 30 ~ 14 : 00
- 자전거 도로
- 인도와 접한 자전거 도로에 주정차된 차량
- 이중주차
- 황색 단선 또는 복선 표시가 있는 도로에 이중 주차된 차량
- 사선 주차
- 황색 단선 또는 복선 표시가 있는 도로에 사선으로 주차된 차량
- 인도
- 차량의 1/3이 인도 및 보도를 침범하여 주차된 차량
- 주정차 금지구역
- 주정차 금지구역 및 주정차 금지 도로에 주정차된 차량
- 자전거 도로
위의 기준대로 주정차를 위반하면 불법주차 신고 시 단속에 걸릴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기타 불법 주정차 대상자들이고 소화전, 어린이 보호구역 같은 곳에서 불법주차는 그리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습니다.
▶ 경미한 접촉사고 합의금 딱 이 정도만 주면 됩니다.
불법주차 신고앱 설치하기
불법주차 신고는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안전신문고 어플을 통해서 간단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굳이 구청까지 가지 않아도 되고요.
안전신문고 앱을 설치해서 신고하기 -> 불법 주정차 신고 탭으로 이동하여 찍어둔 사진으로 접수만 하시면 신고 후 처리되는 현황까지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안드로이드(갤럭시)를 쓰신다면 다음의 홈페이지로 이동하시고, (구글스토어 안전신문고 앱 설치 이동하기 ▶▶), 애플(아이폰)을 쓰신다면 다음의 홈페이지로 이동하셔서 앱을 설치하시면 됩니다.(애플스토어 안전신문고 앱 설치 이동하기 ▶▶)
컴퓨터로 안전신문고 홈페이지를 통해 신고하실 수도 있지만 불법 주정차 사진을 찍어둔 것을 다시 컴퓨터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으로 신고하시는 게 편합니다.
불법주차 신고 방법
불법주차 신고 방법은 위에서도 알려드렸지만 간단합니다. 불법 주차한 사진을 찍어서 안전신문고 앱에 들어가 신고하기 -> 불법 주정차 신고 탭으로 이동하여
찍어둔 사진을 올리고 발생지역, 간단한 내용만 입력하여 신고하면 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건 사진을 어떻게? 찍냐가 중요합니다.
불법주차 사진은 무조건 동일한 위치의 동일 차량을 1분 간격으로 2장 이상 찍어야 불법주차 신고로 불법주차 차량 차주에게 과태료를 먹일 수 있습니다.
불법주차 신고 시 포상금
불법 주차된 차량을 신고해서 해당 차량이 과태료 처분을 받아도 포상금은 없습니다. 불법주차 신고 포상금은 없지만 그래도 참 교육을 해줬다는 데 위안을 삼으시면 되겠습니다.
불법주차 과태료는 기타 불법 주차로 보통 3만 원 ~ 5만 원 상당의 상품권이 날아가며, 소화 시설 같은 특정 지역은 8만 원, 어린이 보호구역은
일반 도로의 3배라서 11만 원? 12만 원 넘게 상품권이 날아갑니다. 그리고 가장 많이 신고되는 장애인 주차 구역도 꽤 비싸서 8만 원 ~ 11만 원 정도 날아가니까 한 번 상품권을 받아 본 사람 입장에서는 두 번 다시 불법주차는 하지 않겠죠?
오늘 이렇게 불법주차 신고 포상금 관련 내용, 불법주차 신고 앱을 통한 신고 방법, 신고 대상 등에 대해 정리해드렸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팅
불법주차 신고 3초 만에 간단하게 합시다.
불법주차 불법주차 정말 열받죠. 어제도 차량을 운행 중에 우회전 차선에서 우회전하여 큰 도로로 나가려고 했는데 우회전 차선에 불법 주정차를 해 뒀더라고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2차선으로
dhhdc1.tistory.com
'기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급유 일반유 혼유 차이 장단점 정리 (0) | 2022.07.30 |
---|---|
경주 고급유 위치 가격 지도로 정리해 봤습니다. (0) | 2022.07.30 |
3000cc 자동차세 cc별 세금 총 정리표 (0) | 2022.07.28 |
GS편의점 창업 비용 수익 주의사항 정리 (0) | 2022.07.27 |
cu편의점 창업비용 생각보다 얼마 안할지도? (0) | 2022.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