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 관리비 영수증 안 챙기면 손해 봅니다.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선수 관리비 영수증 안 챙기면 손해 봅니다.

by 부동산을공부하자 2021. 9. 14.

선수 관리비가 뭘까?

선수 관리비는 신축 아파트에서 부담하게 되는 관리비 명목의 보증금입니다. 공동주택이면 입주 초기 모두 선수 관리비가 발생하게 되는데, 공동주택의 종류로는 아파트도 있고 빌라도 있죠? 신축 빌라에도 선수 관리비가 당연히 발생합니다.

 

이런 선수 관리비는 아파트나 빌라를 준공하고 나서 최초로 입주하게 되는 집주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고 해당 아파트나 빌라가 재건축될 때까지 절대로 돌려주지 않는 비용이기도 합니다. 이러면 입주 초기에 부담하는 집주인들이 손해 같죠? 사실 손해가 아닙니다.

 

왜 손해가 아닌지? 궁금하시다면 천천히 글을 아래로 내려주세요. 그리고 기타 선수 관리비에 대한 다른 내용들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선수-관리비
신축 아파트

선수 관리비 양도 양수?

선수 관리비는 신축 아파트가 준공되고 최초 입주자가 보통 평 당 얼마 해서 10만 원 ~ 30만 원까지 내게 됩니다. 이 돈을 절대로 돌려받을 수 없고요. 나중에 매도할 때 매수인에게 양도하여 매수인이 부담하는 식으로 아파트가 재건축 될 때까지 계속해서 승계됩니다.

 

그러니까 결국 이 선수 관리비라는 비용은 입주 초기에 잠깐 맡겼다가 아파트를 팔 때 매수인에게 돌려받는 돈이 되는 셈이죠. 그러니까 궁극적으로는 이 선수 관리비를 낸다고 해서 손해를 보는 게 아니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들이 귀찮다고 선수 관리비를 지급 안 하시면 분양사에서 키 반출을 해주지 않으니 선수 관리비는 무조건 내셔야 하는 비용이다.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납부 후 정산 받는 영수증은 보관해두셔야 합니다.

 

아 그리고 선수 관리비 비용은 잔금 날 이전에 매도인은 관리사무소에 가서 관리비 정산하고 선수 관리비를 돌려받고요. 매수인은 잔금 날 관리사무소에 가서 선수 관리비를 납입하게 됩니다.(중개로 매매한다면 매도인, 매수인 서로 직접 주고 받음)

 

 

 

 

선수 관리비는 왜 내야 할까?

아파트나 빌라를 짓고 나면 관리 주체가 생기죠? 이 관리 주체는 아파트가 이제 막 지어졌고 입주자도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신축 아파트나 빌라를 관리해야 할까요? 관리 비용 없이 관리해야 하고, 또 무일푼으로 관리해야 될까요?

 

이런 문제들로 인해 미리 초기 입주자들에게 선수 관리비를 받는 겁니다. 관리를 해줄 관리 업체가 입주 초기에는 관리비는 내는 입주자가 없으니 처음 입주하는 집주인들에게 선수 관리비를 먼저 받아서 관리를 해주는 것이죠.

 

이후에 입주자들이 차근차근 입주하고 관리비를 정상적으로 납부하게 되면 그 관리비로 다시 관리를 하는 것이죠. 어차피 나중에 아파트 팔 때 다 돌려받는 금액이니까 너무 아까워하실 필요 없습니다.

 

 

선수 관리비는 어느 정도 낼까?

선수 관리비 비용은 지역마다 그리고 공동주택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당연히 빌라보다는 아파트 선수 관리비가 더 많이 나올 것이며 지방보다는 서울 선수 관리비가 더 많이 나올 겁니다.

 

어떤 곳은 평당 2만 원? 하는 곳도 있고 3만 원 하는 곳도 있는데 수도권은 평당 3만 원 정도 해서 한 60만 원 가까이 나오고 지방은 평당 1만 원 이하로 측정되어 2개월치로 30만 원씩 받는 곳도 있답니다.

 

제가 사는 지역은 2개월 치를 선수 관리비로 미리 받아서 30만 원 정도 선수 관리비를 냈던 것 같습니다.

 

 

 

 

선수 관리비와 장기수선 충당금 차이?

장기수선 충당금은 보통 집주인이 자신의 임대주택에 전세나 월세 임차인을 두어 계약이 만료되면 장기수선 충당금 문제가 발생하게 되죠?

 

장기수선 충당금은 아파트의 중요 관리비 항목들에 대한 관리비라서 집주인이 부담하는 게 원칙이라 집주인이 내는 게 맞습니다. 그리고 장기수선 충당금은 선수 관리비처럼 아파트 매매 시 발생하는 관리비라기보단

 

전세나 월세 같은 임대차계약 만료 시 발생하는 관리비라는 점에서 선수 관리비와 장기수선 충당금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 선수 관리비에 대한 포스팅은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요. 추가로 장기수선 충당금과 관리비에 대한 포스팅들을 올려드릴 테니 궁금하신 부분은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2021.02.23 - [부동산 정보] - 세입자 장기수선충당금 요구시 줘야할까?

 

세입자 장기수선충당금 요구시 줘야할까?

보통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세입자가 전세나 월세로 아파트에 거주한다면 장기수선충당금이라는 관리비를 납부하게 됩니다. 물론 장기수선충당금만 내는 것이 아니라 아파트 관리비 안에 개

dhhdc1.tistory.com

2021.07.06 - [부동산 정보] - 주상복합아파트 관리비 이 부분은 잘 모르실겁니다.

 

주상복합아파트 관리비 이 부분은 잘 모르실겁니다.

보통 주거 거주지하면 대부분은 아파트에 많이들 거주하시죠? 근데 아파트 말고도 거주할 수 있는 거주지는 많습니다. 뭐 예를 들면 주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피스텔도 있겠구요. 생활형 숙

dhhdc1.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