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요즘 서울 특별시 아파트 중위가격이 9억 ~ 10억 정도하죠? 그리고 내년 부터는 보유세가 많이 오른다던데 얼마나 오르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그래서 제가 준비했습니다. 오늘 10억 아파트 재산세를 계산해볼건데 총 2가지 기준으로 10억 아파트 재산세 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시가 10억 아파트 기준으로 재산세를 계산해 볼 것이며, 두번째는 공시가격이 10억을 기준으로 아파트 재산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시가와 공시가격의 차이는 무엇인지? 다들 아시죠?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잠깐 설명드리자면 시가는 실거래가를 시가라고 하며, 현재가격을 시가라고 합니다
공시가격은 나라에서 1년 단위로 산정하는 가액이며 보통 시가의 70% 수준이 공시가격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러니까 10억이 시가면 10억 X 70% = 7억이 공시가격이 되는 것이죠. 간단하게 시가가 공시가격 보다 높고, 공시가격은 시가보다 낮다. 고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1) 시가 10억 아파트 재산세
첫번째로 시가 10억 아파트 재산세를 산출해보겠습니다. 일단 시가 10억에서 공시가격을 구해줘야겠죠. 보통 공시가격은 시가의 70%정도라고 제가 위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나 함정이 있죠. 최근 공시가격 현실화율, 1216부동산 대책이 시행되면서 2019년 부터 점점 공시가격을 시가에 맞춰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9억을 초과하는 고가주택일수록 공시가격과 시가의 괴리율이 낮습니다. 그래서 고가주택, 즉 10억 초과 아파트는 공시가격을 한 90%로 잡아야 합니다.
그래서 10억 X 90% = 9억이 시가 10억 아파트 공시가격이 되며 9억을 기준으로 10억 아파트 재산세 를 구하면 됩니다.
9억 X 공정시장가액비율 60% = 5억 4,000만 원 이 재산세 과세표준이 되며 참고로 토지나 건물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이 70% 입니다.
5억 4,000만 X 0.4% - 누진공제 63만 원 = 153만 원이 10억 아파트 재산세 세액이 됩니다. 아시다시피 재산세만 구해서는 안되죠? 도시계획세랑 지방교육세도 구해야 합니다.
153만 원 X 20% 지방교육세 = 30만 원, 5억 4,000만 원 X 0.14% 도시계획세 = 75만 원
그럼 총 합쳐보겠습니다. 재산세액 153만 + 지방교육세 30만 원 + 도시계획세 75만 원 = 258만 원이 총 10억 아파트 재산세가 되겠습니다.
참고로 지역자원시설세도 한 몇 만원 내지 몇 십만원 정도 부과되니까 260만 원 ~ 280만 원 까지 재산세가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2) 공시가격 10억 아파트 재산세
다음은 시가가 아닌 공시가격 10억 아파트 재산세를 구해보겠습니다. 공시가격은 이미 산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가에 일정 비율을 곱할 필요없이 바로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재산세를 구하면 됩니다.
10억 X 공정시장가액비율 60% = 6억 이 재산세 과세표준이 되겠구요. 6억 X 0.4% - 63만 원 = 177만 원이 10억 공시가격 아파트 재산세 세액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6억 X 0.14% = 84만 원이 도시계획세, 177만 원 X 20% 지방교육세 = 35만 원이 지방교육세가 되니까 총 합쳐보면
84만 원 + 35만 원 + 177만 원 = 296만 원이 공시가격 10억 아파트 재산세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위와 동일하게 지역자원시설세를 포함하면 300만 원 이상 재산세가 부과되겠습니다.
오늘 이렇게 10억 아파트 재산세가 대충 얼마나 나올지 2가지 기준으로 나눠서 설명드려보았습니다. 내년 부터는 사실 재산세가 아닌 종부세가 많이 오르기 때문에 종부세를 무서워하셔야 합니다.
특히 10억 정도되면 종부세 부과기준에 부합하니까 종부세가 부과되겠죠. 암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허가 건축물 조합원 자격 있을까? (0) | 2021.01.02 |
---|---|
2021년 공시지가 조회 언제될까? (0) | 2021.01.01 |
무순위 줍줍 무슨 뜻 일까요? (0) | 2020.12.31 |
북향집 살기 좋을까? (0) | 2020.12.30 |
지주택 취득세 얼마나 낼까? (0) | 2020.12.30 |
댓글